Pigeon(2)
-
Pigeon을 사용해서 여러개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에러 정리
2024.06.21 - [Programming/Flutter] - Pigeon을 사용하여 Type-safety한 네이티브 코드 작성하기에서 Pigeon을 사용해 코드를 Type-safety한 네이티브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봤다. 하지만 네이티브 코드가 많아져서 두 개의 플랫폼 코드를 작성한다고 가정하자. 이런 경우 Pigeon을 사용해서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면, 위와같이 FlutterError 클래스를 재선언했다는 에러가 발생하게된다. 이런 경우에는 @ConfigurePigeon 어노테이션의 kotlinOptions에서, errorClassName을 별도로 지정해주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KotlinOptions의 인자값에 errorClassName으로 문자열을 넘겨..
2024.06.24 -
Pigeon을 사용하여 Type-safety한 네이티브 코드 작성하기
가끔씩 Flutter를 사용해서 앱을 작성할 때, 성능이 필요한 부분은 네이티브 코드로 작성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이 내용에 대해서는 Flutter 공식 문서의 Writing custom platform-specific code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요. 예전에는 MethodChannel을 사용해서 네이티브서 호출할 메서드를 문자열 형태로 넘겨주고, 인자값이 필요할 때는 dynamic 타입으로 정의되어있는 arguments에 필요한 값을 넘겨줬습니다. 플랫폼에서 작성한 네이티브 코드 역시 문자열을 통해 실행할 함수를 결정하고, Any타입(안드로이드 기준)으로 전달된 값들을 형변환하여 작성해야했죠. 이 방법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채널명을 정하고 MethodChannel을 설정해야하며, MethodC..
2024.06.21